지역별 자료 1141

뉴욕보다 강설량이 많았던 서부텍사스의 2011-2012겨울

최근 약 1년 6개월 동안 전지구적 기상의 화두는 '라니냐'였습니다. 라니냐가 나타나면 서부텍사스까지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는 것이 일반적인 사례입니다. (This year's active La Niña pattern, a cooling of the waters of the equatorial Pacific, would usually mean dry conditions for west Texas.) 그런데 올해만 해도 50센티미터 가량의 강설량을 기록했습니다. 오대호나 뉴욕도 아니고, 서부 텍사스에서 50Cm입니다. 참고로 동부해안의 보스톤은 2011년 겨울부터 지금까지 겨우 20cm밖에 오지 않았습니다. 작년에는 무려 200cm가 왔었고, 최근 30년간 평균은 114cm 입니다. 어떤일이 벌어진 것일까요..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 위치와 지진통계, 인구분포와의 관계

참고 포스트 전세계 원자력 발전소 위치 (KMZ화일) 전세계 50,000개의 발전소 위치 (KML화일) 일본의 메갈로 폴리스라 불리는 도쿄-나고야-오사카로 이어지는 라인에는 원자력 발전소가 하나도 없습니다. 우리나라 서울-경기 지역에 없는 이유하고 동일하겠지요.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 몰려 있는 곳들에 관한 산업정보를 더 수집할 필요가 있을 듯 합니다. 아래 지도는 30년간 지진통계를 바탕으로 일본의 지진 위험도를 시각화 한 것입니다. 아래지도는 2005년 인구센서스를 기반으로 작성된 일본의 인구밀도 지도입니다.

러시아 천연가스 파이프 지도

세계지리 수능을 올해 처음으로 가르쳐 봅니다. 그러다보니 어려움이 많네요. ㅠ.ㅠ 문제 풀다가 러시아 천연가스 관련문제가 나왔는데 석연치 않은점 있어서 Gazprom 홈페이지에서 직접 가지고 왔습니다. 누르시면 지도는 훨씬 더 커집니다.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production is located in Siberia, where about 95 percent of Russias natural gas is produced. Some of the most prolific fields in this area include Yamburg, Urengoy, and Medvezhye, all of which are licensed to Gazprom 러시아의 천연가스는 대부분 우랄산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