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자료 1142

연무로 인한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와의 갈등

때만 되면 발생하는 인도네시아의 산불로 인한 싱가포르 난리가 또 찾아왔습니다. 먼저 피해 사진들 부터 보시죠 먼저 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퀴즈하나 풀어보시겠습니까? 주변 선생님들이 물어봅니다. '이 선생 발리 놀러가려는데 겨울방학이 좋아? 여름방학이 좋아?' 언제라고 답해줘야 할까요? 일단 발리 위치부터 확인해보고 음.... 일반적으로 동남아는 겨울에 가야 비도 덜오고 찌는 듯한 더위는 아니니...겨울이 좋을까? 아니지, 발리는 남반구 이니 그 반대인가? 남반구라 하더라도 적도 근처니까 맨날 덥고 비만 오지 않던가? 갑자기 물어온 질문에 당황하실 수 도 있으실꺼예요 제 대답은 언제나 '쌀때 가세요' 이지만, 여름방학, 겨울방학 둘다 비싸니, 가격 대비 좋은 효과를 얻으려면 확실한 선택을 해야할 것이다. 이..

미국의 벼농사 지대

아래 지도는 전세계 벼농사 분포 지도입니다. 이번에는 미국의 벼농사지대 지도입니다. 위 지도를 보면 미국의 핵심 벼농사지대는 2곳으로 압축됩니다. 1. 미시시피 주변의 아칸소 지역 (범람원 중심) 2. 캘리포니아 관개 농업지대 (새크라멘토 중심) 쌀재배 면적으로 봤을 때 쌀생산 농민 숫자로 봤을 때 위 표를 보시면 좀 더 구체적인 정보가 나오는데 아칸소,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미주리 모두 미시시피강 주변 범람지대가 벼농사의 곡창지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아칸소지역의 벼농사지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 아칸소는 우리에겐 클린턴이란 인물로 더 많이 알려진 동네이기도 하지요^^ 여기 이미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아칸소는 미국 벼농사의 상징적인 곳입니다. 아래 지도에서 아칸소주의 Little Rock과 Me..

Stereotypes of Europe 2

제목을 임의대로 제가 Stereotypes of Europe 2 라고 졌습니다. 왜냐하면 작년 이맘때 Economist가 아주 흥미 진진한 기사하나를 던져줬었거든요 그 이름하야 'Stereotypes of Europe' 관련포스트 Stereotypes of Europe 클릭 (이것부터 먼저 보셔야 더 재미있습니다) 제가 되게 재미있어하는 기사입니다. ^^ 교과서에서는 배우기 힘든 유럽 국가들관의 속내를 볼 수 있기 때문이죠. 이번에 나온 기사는 (2013.5.13) What Europeans think of each other Polls apart 재미있는 내용들 1. 작년 기사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장 믿음직한 녀석은 독일이군요. 그런데 그리스에게 가장 믿음직한 국가는 자기 자신인 그리스라고 생각하고 있네..

이슬람 국가들 중 종교와 생활과의 밀접도

현존하는 종교들중에 생활과 국가체제와 가장 밀접한 종교는 이슬람이 아닐까? 하고 혼자 생각해보곤 합니다. 그렇다면 이슬람을 믿는 국가들에서는 다들 이슬람이 법률, 생활, 문화, 예술에 가장 중요한 요소일까요? 어떤 나라에서는 밀접하지만 어떤 나라에서는 조금 덜 밀접하지는 않을까? 라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했었습니다. 그것을 조금은 짐작하게 해줄 수 있는 Data가 나왔습니다. Sharia do like it Apr 30th 2013, 16:12 by Economist.com A new study reveals what Islam means in different countries ISLAMIC law, in many eyes, has overtones of rigid puritanism. Ye..

여름 몬순이 오기전 미얀마 인접지역의 반복되는 산불들

관련포스트 Fires across Southeast Asia (몬순 + 지형) 2013년 3월 22일 위성사진 관련포스트 링크를 열어보시면 알겠지만 이곳은 산불이 매우 매우~ 자주 나타나는 지역입니다. 태국의 water festival 쏭크란이 4월 13일에서 15일까지로 알고 있습니다. 물의 축제는 즉 동남아시아지역에 여름 몬순이 시작된다는 뜻이지요. 이 지역의 몬순은 대략 이렇습니다. The Asian monsoon dominates the climate of Southeast Asia. From roughly mid-April to September, it is rainy and hot; from November to mid-March, it is cooler and dry. 11월에서 3월 중순까..

뉴질랜드의 가뭄과 양유목

올 2013년 여름(뉴질랜드기준)의 뉴질랜드 가뭄은 70년 역사상 최악이었다고 합니다. 수업시간에 뉴질랜드의 주요 산업은 양유목이라고 말하곤 했습니다. 뉴질랜드의 강수는 아래 오른쪽 그림에서와 같이 알프스 서쪽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다음 지도는 북부섬과 남부섬의 소, 양, 사슴, 돼지 사육 두수를 보여주는 것 입니다. 지도를 보고 다음에 답해보세요. '물을 싫어한다는 양 사육 두수가 가장 많은 곳은???' 정답은 남섬 알프스 동쪽입니다. 수업시간에 지겹도록 학생들에게 말하는 바람그늘지역으로 양에게 적합한 지역이라고 합니다. 여기까지는 수업시간에 자주 언급하는 평범한 이야기입니다. 오늘의 의문사항은 바로 이것입니다. 70년만의 최악의 가뭄을 겪었다면, 양사육하는 입장에서는 남섬의 피해가 더 클까요? 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