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층이 차곡차곡 쌓인 지역(구조평야)에서 횡압력을 받아 휘어지면 위와 같은 일이 생겨난다.
투수층(대수층)에 물이 저장되고, 물이 대수층을 따라 흐르면서 압력을 받으면 우물로 지하수가 뿅~하고 튀어나가기도 한다.
이런게 찬정(Artesian Well)이다.
Artesian은 Paris의 다른 표현이기도 하다.
지리샘들이라면 '수평지층'과 'Paris'라는 지명에 갑자기 뭔가 떠올랐을 법도하다.
그렇다. 이거슨~ 바로 "케스타"
그런데, 케스타보다 호주의 "대찬정 분지"와 더 닮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도 휙 하고 지나갈 것이다.
맞다.
찬정은 영어로 Artesian well (파리분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우물형태)이고,
호주의 대찬정 분지는 Great Artesian Basin이다.
공통점은 무엇이냐?
바로 구조평야라는 점이다.
https://geowiki.tistory.com/1114
호주 대찬정 분지의 고향은 파리분지
호주하면 빼놓지 않고 가르치는 내용이 '대찬정 분지'와 관련된 내용이다. 대찬정 분지는 호주에서만 나타나는 것일까? 라는 의심은 당연히 들만한 것이다. 그리고 이런 유형은 어디에서 또 찾아볼 수 있을 것인가..
geowiki.tistory.com
물을 머금을 수 있는 있는 녀석들로는 아래 4가지가 대표적이다.
이걸 이해해야 카르스트도, 카나트도 이해하고, 석유 채굴도 이해할 수 있다.
큰 매커니즘은
"액체를 머금을 수 있는 지층" + "피압층"
이 두가지이다.
아래 그래프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석회암과 사암, 역암층은 인류의 물통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럽은 Limestone에 큰 은혜를 입고 있다.
이래서 유럽이 탄산수와 맥주, 와인 문화가 발달했다고 인류학에서는 말하고 있다.
위의 그림과 그래프에서 Fractured를 보니 떠오르는 또 하나의 포스팅
골란 고원이 어떻게 이스라엘의 물탱크 역할을 하는지를 보여주는 글도 참고~
https://geowiki.tistory.com/1891
트럼프가 불 지른 골란고원 물 분쟁
도람뿌님께서 2019.03.22 트윗을 하나 날리셨습니다. 내용인 즉은 이제 골란 고원을 온전히 이스라엘 것으로 인정하노라~ 이게 왜 문제가 되느냐? 핵심은~~~ WATER~!!! 여기가 1000mm대의 강수를 자랑하는 골란..
geowiki.tistory.com
'주제별 자료 > 카르스트지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rst Aquifer Map (0) | 2020.04.21 |
---|---|
카르스트 지형의 발달 (유년기-청년기-장년기-복합형-익스트림형) (0) | 2020.04.18 |
말레이시아 Gunung Mulu National Park의 카렌 (0) | 2020.02.07 |
슬로베니아의 석회 동굴 (0) | 2018.07.29 |
동굴에서 실종된 태국 청소년 축구팀 구조 이야기 (0) | 2018.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