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36

해수면 상승의 원인을 나타낸 그래프 (Science)

이 그래프를 보기 전까지는 당연히 'Thermal expansion이 해수면 상승의 가장 큰 원인이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는데 이번주 Science지에서는 빙하의 융빙이 44%로 조금 더 큰 원인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Land water storage는 어떻게 해수면 상승의 원인이 되는 걸까요?2006~2018년 사이에 수 많은 댐이 부서지기라도 해서 그런 걸까요? 그게 아니라 지하수 사용량이 급증한게 원인이라고 봐야할 듯 합니다.전세계 대도시의 상당수가 지반 침하로 고민하고 있는데,도시인들이 무분별하게 사용 후 흘러나온 지하수는 해수면 상승의 또 다른 큰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FT가 분석한 인구 소멸 위기 도시 : 부산 (FT)

‘AT RISK OF EXTINCTION’: SOUTH KOREA’S SECOND CITY FEARS DEMOGRAPHIC DISASTER   한글 요약 부산, 한국의 두 번째로 큰 도시는 부동산 가격 상승과 취업 기회의 부족으로 인해 젊은 층이 서울로 떠나면서 심각한 인구 위기를 겪고 있다. 한때 번성했던 무역 및 산업 중심지였던 부산은 한국의 첨단 산업 경제로의 전환 이후 쇠퇴하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부산을 경제적 지속 가능성이 부족한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했다. 이러한 위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부산 시장들의 정책 실패이다. 과거 시장들은 장기적인 경제 성장보다 부동산 개발을 우선시하며 공공 토지를 민간 개발업자들에게 매각했고, 이는 새로운 산업 육성보다는 부동산 붐을 초래했다. 그 결과..

2024~2025년 겨울의 맹추위, 그 이유는?

2025.02.02 하루 동안의 평균 수치를 가지고 설명합니다.  결론부터 : 올해의 맹추위 = 북극해가 평년보다 뜨끈하더라~  1번 그림.북극해 안 가운데 시뻘건색 덩어리 - 겨울이면 얼어붙어야 할 북극해의 온도가 평년에 비해 무려 14~18도 정도 높습니다.   2번 그림시퍼런 파란색으로 휩싸인 대한민국- 북극이 유난히 따뜻하니, 북극의 냉기를 평소 잘 내려오지도 않던 한국~일본까지 밀어내는구나.(냉기가 오뉴월 소XX마냥 늘어지는구나~)  3번 그림서해-동해가 갈색으로 나타남우리 주변의 바다가 예년에 비해 얼마나 따뜻한지 보여줌뜨끈해진 바닷물이 북극에서 내려온 냉기와 만나면-> 언제든 수증기로 증발되어 눈으로 변할 수 있다는 얘기임    아래 위성 사진과 같은 날씨가 평년보다 많아 진다는 얘기지.올해..

열리는 북극해와 대한민국의 지리적 입지

이번주 이코노미스트 기사는 기후 변화로 인한 북극의 경제적 기회를 다루고 있습니다.Claude 인공지능이 정리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북극 빙하 감소 · 북극은 지구 평균보다 4배 빠르게 온난화 · 1980년대 이후 빙하 체적이 70% 이상 감소 · 2030년 이전 첫 무빙빙 날 예상 경제적 기회 · 새로운 해상 운송로 개척 (북방항로, 북서항로, 극지 해상로) · 아시아-유럽 간 항해 거리와 시간 단축 · 수산업: 새로운 어종 출현, 어장 확대 광물 자원 개발 ·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패널 등에 필요한 '녹색' 광물 풍부 · 그린란드는 50개 중 43개 전략 광물 보유 · 희토류 매장량은 2023년 채굴량의 120배 도전 과제 · 극지 환경에서의 자원 개발 기술 필요 · 투자자,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