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음하기도 어려운
'바인궈렁 몽골 자치구'란 글씨 오른편에 호수 하나가 있습니다.
보스텅호(博斯腾湖)
위 사진에서 보면 가장 오른편에 위치한 호수입니다.
사진으로 보건데, 아무래도 호수의 물은
북쪽의 산맥들의 만년설의 공급원이 될 듯 합니다.
이런 건조 지역에서는
살아가는데 물은 그 자체로 '생명수'가 되곤 합니다.
A.D 3세기의 모습입니다.
옌치 (구 Karaxahr)는 타림분지내 여러 주요 도시중 하나였습니다.
(이렇게 보니, 타림분지를 둘러 싸고 주요 도시가 형성되었네요
아무래도 선상지가 주요 취락의 요인인 듯)
그 녹은 물이 얼마나 많은지
그 물이 Kaidu강이 되어 얼마나 많은 사람을 먹여 살리는지는 위성사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지도를 확대해보세요)
그런데, 궁금한 점은, 일반적으로 건조지역의 지표위의 호수는 염호일 가능성이 높은데
저 호수는 어떨까요?
바로 위에 있는 사진에서 Dam이라고 써 있는 곳을 확대해봤습니다.
왜냐하면 이 친구가 오늘 사진의 주인공이기 때문입니다.~!!!
The Yanqi Basin, in China’s Xinjian Province, lies in the Taklamakan Desert.
The basin receives an average of just 80 mm (3 inches) of precipitation per year,
making it one of the driest places in the world.
An indication of this are the dunes visible in the top image,
which was acquired on September 17, 2000, by the Enhanced Thematic Mapper Plus (ETM+) on Landsat 7.
Snow and glacial melt from the Tian Shan and Borohoro Mountains,
which lie to the west, provide enough water to feed the Kaidu River (lower image).
The Kaidu drains into Bositeng Lake, the largest body of fresh water in Xinjian.
The shallow lake, 17 meters (58 feet) at its deepest point, used to be much saltier.
But the extension of a natural dam in the 1970s (top image),
as well as an increasing inflow of fresh water from irrigation canals, has freshened the lake.
사막의 낮고 옴폭한 곳에 형성되는 호수는 짠게 정상입니다.
보스텅호도 원래는 짰다네요.
그런데, 1970년대 댐을 확장하면서 담수를 더 가둘 수 있게 되자 freshened되었다는 얘기입니다.
인간의 힘으로 담수화 시켰다는 뜻이지요.
지금도 중국 당국은 신장의 유일한 민물호 보스텅호의 염호화를 막기 위해
갖가지 수단을 동원하고 있는 듯 합니다.
아래 있는 <참고자료> 논문들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사막의 호수들 주변에 댐을 세운다고
모두 담수호가 되는 것은 아닐 겁니다.
만년설이 내보내는 Kaidu강의 수량이 풍부하니 가능한 일이겠지요.
지구온난화와 관련지어 생각해본다면
옌치 분지지역은,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 직접적으로 피해를 볼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1. 만년설의 규모 자체가 상당히 줄어들 것이고
2. 그러면 당연히 염류화가 더 빠르게 진행될 것이고
3. 또한 융빙수 공급의 계절변화량이 매우 커질 것이므로
저수 기술이 함께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얼마 되지도 않는 만년설이 여름에 한꺼번에 많이 녹아
run-off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면 건조화도 더 심각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관련 포스팅>
지구 온난화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West of the dam, there is a marshy area dense with reeds.
A pumping station near the dam transports water through a channel along the southern edge of the marsh toward the Kongque River(孔雀河 콩취에 허),
which flows west toward the so-called “Green Corridor,” a lush area that runs from the nearby city of Korla(库尔勒, 쿠얼러) southeast to Lop Nur.
An ancient species of poplar—populus euphratica—considered “living fossils” by botanists, grows in the corridor.
North of the marsh, the patchwork of light green is evidence of farming by people of the town of Yanqi (population 29,000),
where growers have drawn water from the Kaidu in significant quantities since the 1960s.
Today about 120,000 hectares of land (460 square miles) are in production,
making Yanqi one of the most productive agricultural areas in western China.
Major crops include grapes, cotton, and chili peppers.
위의 설명대로, 고추 말리기에는 최고의 입지입니다^^
참고로, 신장지역에서 고추는 콤바인으로 수확합니다
The agricultural activity has not come without consequences.
Intensive irrigation has caused a series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 most important being soil salinization.
It is common for farmers to flood their fields with river water for irrigation,
but the practice has caused groundwater levels to rise.
In some cases, the water table has risen to just a few meters below the surface—high enough to dissolve salt
that has been buried in the subsoil for decades.
The result is that salt has started to build up on many of Yanqi’s fields, making them unusable.
여기가 아주 중요한 포인트 이군요.
과도한 농업으로 이 지역 전체가
어떻게 엿 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곳입니다.
이 동네가 해성층이라는 게 원죄(original sin)군요.
Intensive irrigation also has reduced the amount of water flowing down the Kaidu,
through Lake Bositeng, and out through the Kongque River.
This has created periodic water shortages downstream in the Green Corridor and put the area’s poplar forests at risk.
Water and Salt Management in the Yanqi Basin, China - Summary.pdf
Water and Salt Management in the Yanqi Basin, China.pdf
Water resources managem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Yanqi Basin, Xinjiang, China.pdf
'주제별 자료 > 건조지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막화의 원인과 대책 (미국 텍사스, 프레리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0) | 2017.03.05 |
---|---|
뉴멕시코의 석고 사막 (0) | 2016.11.30 |
미서부 볼손 지형 분석 (0) | 2016.10.14 |
Ripples VS Dunes (바람세기와 입자크기와의 관계) (0) | 2016.10.12 |
미국의 사구(Sand dune), 이 사진 보고 미국 어디쯤이라고 짐작할 수 있으면 지리덕후 (0) | 2016.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