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32

러시아 최대의 곡창지대(Saratov Oblast)

사진을 클릭해서 보세요, 이 사진은 좀 작습니다. 누르시면 커집니다. A지역이 Saratov Oblast 입니다. 볼가강 하류에 위치한 이 지역이 러시아 농업생산의 40%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볼가강 유역에서는 가장 큰 곡창지대이기도 하고요. 이 지역은 그루갈이를 하는데 봄과 여름사이에 작물의 종류가 변하게 됩니다. 제일위 사진중에서 위의 두개는 2002년 3월 31일 촬영한 것이고 아래 두개는 2002년 7월 18일 촬영한 것입니다. 그냥 사진만 보면 왼쪽의 두개는 "뭐야 이거! 전체적으론 누런색인데 가끔 녹색이 있고..별 차이도 없는걸" 하시겠지만, 이상하게도 오른쪽의 두개 사진은 많이 다르지요. 하나는 초록색끼가 도는데, 하나는 핑크빛이... 뭔가 삘이 오긴하는데, 뭘까 뭘까 뭘까........ 하..

러시아 오브강의 홍수(Ice Jams the Ob River)

긴 말이 필요 없습니다. 사진 한장이면 다 설명이 될겁니다. 앞에서 말했던 레나강하고 비슷한 케이스입니다. 2007년 6월 29일 사진입니다. 누르시면 Google Earth로 이동합니다. Russia’s Ob River flows from south to north, and each summer, it thaws in the same direction. The result is that an ice jam sits downstream from thawed portions of the river, which is laden with heavy runoff from melted snow. On June 29, 2007,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

삼협댐으로 인한 변화(1987-2006)

May 20, 2001 VS March 25, 2003 위치는 31 degrees north latitude, 110.5 degrees east longitude 아래는 준공전 2000년 사진과 준공후 2006년 비교 사진입니다. 왼쪽이 충칭쪽입니다. 1987년 2000년 2004년 2006년 위를 누르시면 Google Earth로 이동합니다. 삼협댐이 건설됨으로써 내륙수운은 정말 편리해졌습니다. 특히 충칭(중경)같은 경우 대형 선박은 강물이 풍부한 시기에만 운행 가능했지만, 삼협댐이 생긴뒤로는 항시 운행이 가능해졌으니 말이지요. 댐이 생겼으니 상하류간 배가 통과할때 이런 시설물을 거쳐야만 한다는 불편함은 생겼습니다. 배들이 도크안으로 진입하고 도크의 문을 닫아 수위를 올리고 상승한 수위를 따라, 배가 ..

카나트(Qanat) by BBC 다큐멘터리

카나트는 지역마다 불리는 이름이 다릅니다. 페르시아 지역에서만 카나트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카나트의 위성사진입니다. 열을 맞춰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카나트 구멍의 모습입니다. 깊이가 상당히 깊더군요     사하라 사막밑에도 엄청난 지하수가 있지만, 그 깊이까지 판다는 것은 불가능일 것입니다. 페르시아 지역에도 많은 지하수가 있지만, 그곳에 닿는 것은 불가능입니다. but 다행인지 불행인지 이 지역은 단층운동이 활발한 지역으로, 위의 그림처럼 가로로 생성된 위의 판과 아래판이 따로 움직이면서 마찰로 흙을 많이 만듭니다.     저렇게 흙이 많이 형성된 지역에 물이 흐르기 시작하는 것이죠. 하지만 가끔은 흙이 물을 막는 경우는 내려가서 흙을 뚫기도 하고, 물의 소통을 원활하게 만들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