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자료/극지방

핀란드의 쇄빙선 Baltika의 작동 원리 (WSJ)

bus333 2025. 5. 13. 02:49

The Wall Street Journal - 2025.05.12

 

 

ChatGPT가 설명해준 Baltika의 작동 원리

 

핵심 : 비대칭적 디자인의 선체가 3개의 모터를 통해 비스듬히 전진할 수 있어 넓은 항해로를 뚫을 수 있음

 

🔧 쇄빙선의 얼음 깨는 구조적 원리

  1. 강한 선체(hull)
    쇄빙선은 물선(waterline) 근처가 매우 튼튼하게 보강되어 있어 얼음을 직접 부딪혀 깨더라도 손상되지 않습니다. 일반 선박보다 훨씬 튼튼하게 만들어져 있어 극지방의 두꺼운 얼음도 견딜 있습니다.
  2. 넓은 선수(bow) 디자인
    쇄빙선은 일반 배처럼 얼음을 앞에서 직접 밀어 깨는 것이 아니라, 얼음 위로 올라가 무게로 눌러서 깨는 방식사용합니다.
    • 선수의 바닥이 완만하게 경사져 있어, 얼음판 위에 올라탈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올라탄 뒤에는 자체 무게로 얼음을 아래로 눌러 깨부수며 전진합니다.
  3. 비대칭형 선체 + 회전식 추진기(swivelling motor pods)
    • 발티카는 세계적으로 드문 비대칭형(비정형) 선체가지고 있습니다.
    • 일반적인 정면 전진뿐만 아니라, 옆으로 이동하며(사이드웨이) 얼음을 넓게 깨는 기능이 있습니다.
    • 3개의 **회전식 모터 팟(pod)**활용해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추진 가능해, 좁은 공간에서도 기동성이 뛰어납니다.

💡 특별한 기능: "옆으로 가면서 얼음 깨기"

  • 발티카’얼음 위를 수직으로 전진하지 않고, 약간 기울어진 비스듬한 자세로 옆으로 전진합니다.
  • 때문에 예전에는 쇄빙선 2척이 필요했던 넓이의 항로를, 발티카 1척이 옆으로 이동하며 있게 되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