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28일자 WSJ(월스트리트 저널)은 중국의 핵 미사일 사일로에 관한 기사를 내보냈다.
두 개의 장소가 언급되고 있는데
하나는 동부 신장위구르 지역에 위치한 Hami(하미)와 깐수성(감숙성)의 Yumen(위먼)이다.
이 두 곳은 어떤 입지 조건을 갖고 있을까 하고 구글어쓰를 좀 돌려봤다
.
.
.
.
돌려보니 공통점은 건조지역 선상지의 선단에 자리잡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물을 좀 쉽게 구할 수 있고
풍력과 태양광 발전의 최적지라는 점이 나오더라구요.
결론은 별거 없죠?
근데, 이걸 조사하다보니
조사 의도와는 전혀 상관 없이
중국과 미국의 신재생 에너지 생산을 위한 지형적 조건이 좀 다르구나 하는 걸 깨닫게 되었습니다.
Hami, Yemen을 중심으로 한 미사일 반경
Hami(하미)는 선상지의 선단에 자리잡고 있어서
건조한 동네지만 그나마 융빙수를 뽑아먹을 수 있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마을의 해발고도는 약 750미터 정도이고, 마을 위쪽 산악은 대략 2,000미터 정도된다)
ps, 이건 본론과 관련 없는 얘기인데
위의 wind map을 잘 들여다보면 타클라마칸 사막 내부는 동풍이 지배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황사의 공장 타클라마칸 사막에 연중 동풍이 우세하면 어떻게 대한민국까지 흙먼지가 날아올 수 있는 것일까?
타림분지 지형과 동풍 국지풍의 오묘한 조화가 바로
'황사가 주로 봄에만 불어오는 비밀의 열쇠'이다. 왜 봄빼고 다른 계절엔 왜 황사가 잘 불어오지 않는 걸까? 에 관해 계속 자료를 수집중이다.
이번엔 두번째로 지목된 깐수성의 Yumen(위먼)
----------------------------------------
여기부터가 오늘의 하고 싶은 얘기
미국에서는 지형도 평평해서 건설비도 싸게 들고 바람의 뽕을 제대로 다 뽑을 수 있는 최적의 장소는 프레리입니다.
헌데, 프레리는 반건조 토양으로 옥수수, 콩 및 밀의 생산량이 어마무시한 지역입니다.
여기에다 농사를 집어치우고 풍력발전소와 태양광 발전기를 돌리라구요?
미쳤나요?
미국 최대의 Wind farm은 이런데 위치하고 있습니다.
(LA분지의 동쪽 바람길)
https://geowiki.tistory.com/415
이번엔 중국을 알아볼까요?
분지지형에 한쪽이 뚫려있어 바람이 한 방향으로 쏠릴 수 밖에 없다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미국 LA분지 동쪽에 자리 잡은 대규모 Wind Farm하고 똑같은 입지 조건입죠. 헌데 사이즈가 훠어얼씬~~ 더 크죠
중국의 풍력발전소 입지가 미국하고 다른 점은 무엇일까요?
여기는 반건조지역이 아니라 건조지역입니다. 사막이란 얘기죠.
오랫동안 거주하고 있는 원주민들이 있긴하지만, 중국 공산당에게 큰 걸림돌은 되지 못할 것 같습니다.
문제는 전력의 생산지와 소비지가 너무 멀다는 거죠
https://geowiki.tistory.com/1306
중국은 화석에너지 의존도도 높지만 신재생 에너지 비율도 미국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Net Zero 2050 압박이 계속 들어오면 중국은 어떻게 대응하게 될까요?
아마 UHVDC 전력망을 더 깔고, 신장위구르의 건조지역에 신재생 에너지 기반 시설을 더 많이 설치해서 대응하지 않을까 합니다.
(2007~2008년 세계가 금융위기를 겪고 있을 때 중국은 철도와 도로를 깔면서 내수 경제로 버텼듯이, 몇년 사이에 경기 하락기가 또 발생한다면 신재생 공공 산업을 거대하게 일으키지 않을까 하는 짐작도 해봅니다)
헌데, 미국은 이 전략을 추진하기엔 너무 아까운 땅을 사용해야하기에..읍읍...
'지역별 자료 > 아시아(한,중,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이 포함된 분쟁 지역 지도 (0) | 2021.09.22 |
---|---|
The basement geology of Japan from A to Z (0) | 2021.08.31 |
도쿄 올림픽과 수소경제 (보너스, 후쿠시마 살리기) (0) | 2021.07.24 |
대만 타이페이 지질 형성 과정 (0) | 2021.06.27 |
2011년 일본 쓰나미 사태와 핸드폰 공급망 중단 (0) | 2021.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