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자료/건조지형

하안사구 (중국 싱안링산맥 에스카프먼트에 발달한 하안사구)

bus333 2016. 1. 9. 16:58

논문의 원제목은

 

Deflated rims along the Xiangshui River on the Xiliaohe Plain, Northeast China: a case of active fluvial-aeolian interactions

 

원본은 아래 압축화일 (비번 걸려있어요. 개인적 용도라서 죄송합니다)

Deflated rims along the Xiangshui River on the Xiliaohe Plain, Northeast China.egg

논문 번호는 doi:10.1016/j.geomorph.2015.12.025

 

 

연구 대상 장소에 관한 설명입니다.

Xiliaohe plain 이라고 하는 것을 보니

우리나라 발음으로는 '서요하 평원'이라고 해야할 듯 싶습니다.

 

 

이 지역에 관해 알아보려면 먼저 이 지역을 거시적으로 살펴봐야할 듯합니다.



 

 

녹색으로 표시된 곳이 대(大)싱안링(兴安嶺) 산맥입니다.

중국 전통지도에서 싱안링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보여주는 지도입니다.

 

세계지리 시간에도 많이 가르칩니다.

중국을 2분하는 중요한 산맥

 

 아래와 같이 둘로 나누는 경계입니다.

 

 

 

그럼 최신의 DEM으로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지도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곳이 위 논문의 연구대상지역인 Xiliaohe(서요하) 주변입니다.

 

싱안링이 생각보다 높습니다.

그러니까 위하고 아래하고 해발고도차가 매우 심하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뭐가 생길 수 있을까요?

아래 문장에 굵은 글씨로 표시해놓은

 

"the deflation of escarpments on the downwind side of valley by local prevailing winds of NW direction" 입니다.

 

해안에서는 꾸준히 불어오는 계절풍 혹은 항상풍이 마찰이 없는 바다위를 날아오니

사구를 쉽게 형성할 수 있었는데

 

내륙에서는 표면위 마찰이 강하기 때문에

뭔가 다른 형태의 강한 바람이 필요할 것입니다.

 

사구 형성에 필요한 강력한 바람의 근원에 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위의 연구는 아래 지도에서 싱안링산맥 밑에 표시된 빨간색 하천 (Xiliaohe) 지역을 중심으로 시행된 것입니다.

 

 

 

북서풍에 의한 사구 발달이 확실히 눈에 보이시죠?

 

좀 더 자세히 볼까요?




 

 

 

 

Highlights

Powerful dominant winds sculpt deflated rims as riverine source-bordering dunes.

Bulk sand on rims derives from Quaternary sand sediments on downwind escarpments.

A valley stimulates substantial wave-like perturbation of airflow in gale events.

Wave-like features of varied spatial scales develop on the upper portions of rims.

 

 

Abstract

Riverine source-bordering sand dunes, as a result of active fluvial-aeolian interactions, are a pronounced feature on the semiarid Xiliaohe Plain, Northeast China. By means of satellite imagery analysis, and both field survey and observation, this paper presents a new type of riverine source-bordering sand dunes – deflated rims, on the downwind margins of the Xiangshui River. They largely result from the deflation of escarpments on the downwind side of valley by local prevailing winds of NW direction, not from the reworking of point bars on floodplain by wind. In general, a rim is primarily composed of three distinct zones: 1) the upwind frontal escarpment zone with variable plan-form shape, gradient and relief, which is formed by either active lateral erosion by river or significant erosion by wind and transient slope runoff; 2) the deflation zone with gentle slopes of 8–18° and small-scale aeolian bedforms, i.e. ripples of fine sand, ridges of coarse sand; and 3) the downwind dynamic deposition zone with distinctive bedforms with variable superficial texture and slip faces. The sand mass on rims derives overwhelmingly from underlying loose late Quaternary sediments, is sufficient and sustainable by successive retreats of the escarpment, and is gradually transported downwind by pulse motions of bedforms, coupled with high wind events. Essentially, deflated rims are a starting point and the incipient phase of mature riverine dunefields. The superimposed bedforms on rims are fundamentally governed by windflow dynamics, sand sediments and antecedent bedform, exhibiting in turn the manner and intensity of rim development. Consequently, the upwind river valley and downwind deflated rim can jointly stimulate marked wave-like motion of both windflow and aeolian bedforms at different scales, especially when high wind events occur. This study sheds some light on the understanding of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riverine source-bordering dunefields, and offers new insights into the mechanisms of fluvial-aeolian interactions on drylands worldwide.



Keywords

  • source-bordering dunes; 
  • deflated rim; 
  • downwind escarpment; 
  • wave-like motion; 
  • high wind events

 

아래 그림들은 논문에 사용된 그림들입니다.

 

 





 

 

 

 



 



 



 



 



 



  

사막도 아니고, 바닷가 해안단구도 아니면서 내륙의 하천주변에서 하안사구가 나타날 수 있음을 보고
(4기의 퇴적물 + 하천의 운반 + 강력한 바람의 작용)

네이버에서 하안사구를 찾아보니

 


이 정도의 규모는 아니지만 재미 있는 결과를 하나 발견했습니다.

 



 




두만강 하안사구

 

 

 이 주변을 위성사진으로 잘 살펴보면

북서풍을 따라 강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사구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위의 링크된 블로그에서 가져온 사진들입니다.